- 따릉이·자가용 등 대중교통보다 혼자 이용하는 교통수단 선호
- 같은 공간 사용하는 ‘공간공유’ 이용은 줄어
- 서울시 “코로나19 극복위해 ‘공유’가 도움될수 있는 방안 고민중
코로나19 이후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산다’는 말이 일상이 됐다.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등 모든 사람들이 대면접촉을 최소화 하기위해 노력 중이다. 이런 상황은 공유경제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따릉이 정류장에 자전거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진=이로운넷 코로나19 이후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산다’는 말이 일상이 됐다.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등 모든 사람들이 대면접촉을 최소화 하기위해 노력 중이다. 이런 상황은 공유경제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코로나19 이후 정거장에 따릉이가 줄었어요” 코로나19 확산 초기만 해도 공유경제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야외에서 물건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인위생만 준수하면 문제없다’는 분위기다. 대표적으로 공유자전거 따릉이는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 도시교통실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용량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얼마 전부터 따릉이를 이용하기 시작했다는 A씨는 “출퇴근 시간에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는 사람이 몰려 감염 위험성이 높고, 날씨도 풀려 운동 겸 따릉이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B씨는 몇 년 전부터 따릉이 정기이용권을 구입해 따릉이를 이용중이다. 지금도 출퇴근, 약속장소 등을 갈 때마다 수시로 사용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탈수 있는 자전거 수가 줄었다. B씨는 “주로 지하철역에서 집까지 따릉이를 이용하는데, 퇴근할때 자전거가 없어 걸어간 적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두사람 모두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자전거를 타고, 손소독제, 손씻기 등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A씨는 “따릉이를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전 알콜솜 두박스를 주문해, 자전거를 타기 전에 손잡이를 알콜솜으로 닦고, 타고 난 뒤에는 정류장에 있는 손소독제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C씨는 서울 은평구(집)에서 서초구(직장)로 출퇴근을 한다.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까지만 해도 지하철을 이용했지만, 2월말 부터는 출퇴근 이동수단을 승용차로 바꿨다. C씨는 “코로나19가 잠잠해 질 때까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을 생각”이라며 “집 주변(은평성모병원)에 확진자가 대거 발생해 더욱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려 한다”고 말했다. C씨처럼 자가용을 이용하는 사람도 늘다보니 공유주차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도 큰 영향이 없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에는 외출자제로 잠시 이용자 수가 주춤했지만, 최근에는 이용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분위기다. 서울 13개 지자체와 부산 등 주요지역에서 공유주차서비스 ‘파킹프렌즈’를 제공하는 한컴모빌리티는 “우리가 제공하는 공유주차서비스는 앱을 기반으로한 비대면 방식이다보니, 코로나19와 관계없이 점점 이용자가 많아지고 있다”면서 “리뉴얼 개편 등을 준비하고 있어 앞으로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홍길 서울시 공유도시팀장은 “따릉이나 킥보드 등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은 이유는 한 공간에 여러 사람이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방식 때문”이라고 말했다. shmr28@hanmail.net
기사 원문 보러가기 |